월 50만 원으로 시작하는 미국 배당주 투자, 3년 재투자 시뮬레이션

매달 50만 원. 누군가에겐 생활비의 일부, 누군가에겐 자기계발을 위한 투자금일 겁니다. 만약 이 돈으로 잠자는 동안에도 돈을 벌어다 주는 ‘나만의 작은 공장’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경제적 자유의 첫걸음, 바로 ‘배당 재투자’를 통해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매월 50만원 투자와 배당 재투자로 자산이 성장하는 그래프
매월 50만원의 꾸준한 투자와 배당 재투자로 자산이 성장하는 모습
오늘은 너무나도 현실적인 금액, ‘월 50만 원’이라는 씨앗을 미국 대표 배당주 SCHD와 O에 3년간 꾸준히 심고, 거기서 열리는 배당이라는 열매를 다시 땅에 묻었을 때(재투자), 어떤 놀라운 결과가 펼쳐지는지 함께 시뮬레이션해 보겠습니다. 복리의 마법이 여러분의 눈앞에서 펼쳐질 겁니다.

시뮬레이션의 두 주인공 : SCHD vs O

왜 많고 많은 종목 중에 SCHD와 O일까요? 이 둘은 미국 배당주 투자의 ‘교과서’와 ‘실전서’ 같은 조합이기 때문입니다.

  •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10년 이상 꾸준히 배당을 늘려온, 재무적으로 가장 튼튼한 100개 기업만 모아놓은 ‘배당성장 ETF’의 대표주자입니다. 안정성과 성장성을 겸비한 모범생이죠. 배당주 ETF에 처음 입문한다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종목입니다.
  • Realty Income (O) : ‘The Monthly Dividend Company®’라는 슬로건을 상표로 등록할 만큼, 50년 넘게 매달 배당금을 지급해온 ‘월배당 리츠(REITs)’의 상징입니다. 편의점, 약국 등 안정적인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하여 따박따박 월세를 받아 주주에게 나눠주는 구조죠.

즉, ‘분기 배당을 주는 우량주 묶음(SCHD)’과 ‘매달 월세를 주는 건물주(O)’에 각각 투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는 흥미로운 실험이 될 겁니다.

시뮬레이션의 규칙 정하기

정확한 비교를 위해 몇 가지 현실적인 가정을 설정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공통 가정

  • 월 투자금 : 500,000원 (매월 초 입금)
  • 환율 : 1달러 = 1,400원 (고정)
  • 매수 방식 : 매월 50만 원을 달러로 환전($357)하여 살 수 있는 최대 정수 주(株)만 매수
  • 배당금 : 세전 기준이며, 지급받는 즉시 해당 종목을 추가 매수(DRIP)
  • 주가 및 배당률 : SCHD ($27.60, 3.7%), O ($57.95, 5.6%)로 3년간 고정 (단순 계산을 위함)

3년 후, 내 돈은 얼마나 자라있을까?

자, 드디어 결과입니다. 월 50만 원의 꾸준함이 배당 재투자라는 복리 엔진을 만났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시죠.

배당 재투자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복리의 마법

배당 재투자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복리의 마법

✅ SCHD (분기 배당 ETF) 3년 재투자 결과

SCHD는 3, 6, 9, 12월에 분기 배당을 줍니다. 처음에는 미미했던 배당금이 재투자를 통해 주식 수를 늘리고, 늘어난 주식 수가 다시 더 많은 배당금을 낳는 ‘선순환’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주목해주세요.

연도 총 보유 주식 수 총 배당금 (USD) 총 배당금 (KRW)
1년차 157주 $161.71 약 22만 6천 원
2년차 320주 $329.60 약 46만 1천 원
3년차 490주 $504.70 약 70만 6천 원

3년이 지났을 때, 총 투자 원금 1,800만 원 외에, 배당금으로만 약 46주(127만원 상당)가 공짜로 더 생긴 셈입니다. 3년 차에는 배당금으로만 1년에 70만 원이 넘는 현금 흐름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월 50만원 투자금의 한 달 치 이상을 보너스로 받는 것과 같습니다.

✅ Realty Income (O) (월 배당 리츠) 3년 재투자 결과

O는 매달 배당을 주기 때문에 복리 효과가 더 자주, 더 촘촘하게 일어납니다. 이 작은 차이가 3년 뒤에는 어떤 결과로 나타날까요?

연도 총 보유 주식 수 총 배당금 (USD) 총 배당금 (KRW)
1년차 75주 $242.25 약 33만 9천 원
2년차 156주 $503.88 약 70만 5천 원
3년차 240주 $775.20 약 108만 5천 원

놀랍습니다. 초기 배당률이 높고 배당 주기가 짧았던 O의 경우, 3년 차에는 배당금으로만 1년에 100만 원이 넘는 돈이 들어옵니다. 월 50만원 투자금의 두 달 치가 고스란히 보너스가 된 셈이죠. 배당 재투자로만 약 24주(165만원 상당)가 더 쌓였습니다.

시뮬레이션 너머의 현실적인 조언

이 시뮬레이션은 우리에게 강력한 동기부여를 주지만, 현실 투자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꼭 알아야 할 현실적인 변수들입니다.

배당주 투자 시 시뮬레이션 외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세금과 주가 변동 등 현실적인 요소

배당주 투자 시 시뮬레이션 외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세금과 주가 변동 등 현실적인 요소
  • 세금 : 이 시뮬레이션은 세전 기준입니다. 실제로는 배당금의 15.4%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이 세금을 줄이고 싶다면, 연금저축펀드나 IRP 같은 절세 계좌를 활용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 주가 변동 : 주가는 매일 변합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는 같은 돈으로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어 ‘수량’을 늘리는 데 유리하고(달러 코스트 에버리징 효과), 주가가 상승하면 평가 자산이 늘어나는 즐거움이 있죠. 장기 투자자에게 주가 변동은 위기가 아닌 기회일 수 있습니다.
  • 배당 성장 : SCHD와 O는 수십 년간 배당금을 꾸준히 늘려온 ‘배당 성장’의 역사를 가진 기업들입니다. 이 시뮬레이션은 배당 성장을 ‘0’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실제 장기 투자 결과는 이보다 훨씬 더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가장 위대한 투자는 ‘꾸준함’

3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월 50만 원을 꾸준히 투자하고 재투자한 결과, 우리는 연 70만 원에서 100만 원이 넘는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만약 이 투자를 10년, 20년 이어간다면 그 눈덩이는 얼마나 커져 있을까요? 이 시뮬레이션의 진짜 주인공은 SCHD나 O가 아닙니다. 바로 ‘꾸준함’과 ‘복리’라는 두 가지 원칙입니다.

오늘 당장 시작하세요. 작아 보이는 50만 원이 당신의 경제적 미래를 바꾸는 가장 강력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첫 배당주 투자는 어떤 종목인가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최고의 배당주, 혹은 배당주 투자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이야기해주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